기자명 한국편집기자협회 (edit@edit.or.kr)

 


“많은 편집기자들 특히 어린 연차의 기자들은 이달의 편집상 수상작들을 교과서처럼 봅니다.”
한국편집기자협회 주최 이달의 편집상이 211회를 맞았다. 신문의 지면경쟁력 강화와 회원들의 업무의욕 고취를 위해 2000년 제정된 이달의 편집상은 매월 제작된 신문지면 중에 우수한 지면을 선정해 수여하는 상이다.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춰 다양한 형태로 진화한 이달의 편집상은 2012년부터 현재의 시상 방식으로 변경해 종합부문, 경제·사회부문, 문화·스포츠부문, 피처부문 등 총 4개 부문에서 시상하고 있다. 20년간 수상작 선정에서부터 시상방식까지 다양한 형태로 진화를 거듭해왔고, 현행 시스템이 정착되면서 꾸준히 명맥을 이으며 권위를 지켜왔다.
하지만 최근 심사의 객관성에 대한 문제제기를 중심으로 이달의 편집상 수상작 선정방식 등에 대한 공론화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를 계기로 협회는 지난 4월 8~12일 중국 청두에서 열린 간사세미나에서 ‘이달의 편집상 이대로 좋은가’라는 주제로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했다. 이번 주제토론은 A, B, C, D 4개 조로 나눠 33명의 회원사 간사들이 조별 1차 토론을 가졌으며, 다시 각 조별로 대표자 2명씩 한자리에 모여 2차 토론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투명성’ 끝없는 숙제… 관심 부족은 아쉬움
이날 토론회는 심사위원, 심사평, 선정이유 등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는 의견을 시작으로 뜨거운 열기 속에서 1시간 넘게 진행됐다. 이날 논의된 주요 의견들은 ▲심사기준이 명시된 배점표 사용 ▲각 후보작 득표수 공개 ▲온라인 투표제 도입 등 선정 방식의 투명성 제고에 대한 의견이 주를 이뤘다. 서울경제 오수경 기자는 “심사위원이 누구인지 모르는 상황에서 심사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심사평이라도 공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국경제 박병준 기자는 “심사위원 개개인의 취향이나 선호하는 제목 스타일에 따라 일부 회원사에 상이 집중될 수 있다”며 심사위원의 주기적 교체의 필요성을 조심스럽게 언급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종합, 경제·사회 등 총 4개 부문으로 부문 수상작을 뽑는 선정 방식에 대한 문제제기도 이어졌다. 신문의 특성상 특정 이슈에 따라 각 부문별 지원 작품의 숫자나 좋은 작품이 특정 부문에 몰릴 수 있다는 특수성이 감안돼야 한다는 것이다. 부문에 국한되기보다 전체 투표를 통해 몇 작품을 선정하는 방식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눈길을 끌었다. 헤럴드경제 심동열 차장은 “전체적으로 부문 구분 없이 ‘제00회 이달의 편집상’으로 통칭해 후보작을 선정하는 방식도 고민해 봐야 한다”고 건의했다.
이와 관련해 분기별로 수상작을 선정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수상작 선정 기간을 확대함으로써 좀 더 양질의 수상작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다만 수상작의 수가 기존보다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상황별로 부문에 따라 다수의 작품을 선정하자는 의견이 개진됐다. 또한 매회 수상작을 선정하기보다 상황에 따라 부문별 수상작을 선정하지 않는 방법도 제시됐다. 머니투데이 백유진 기자는 “무리하게 수상작을 선정하다보면 되레 신뢰성을 잃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수상작 선정을 위한 회원사들의 투표에서 ‘기권표’를 인정해달라는 의견도 나왔다. 기존의 선정 방식에 회원들의 의견을 좀 더 수렴하자는 취지로 득표수보다 기권표가 많으면 ‘수상작 없음’으로 처리함으로써 선정 기준을 강화하자는 의견이다. 중도일보 박솔이 기자는 “콩쿠르 시상식 같은 경우에도 1등을 선정하지 않기도 한다”며 “무조건 1등을 뽑아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작년 전체 51개 회원사 중 36개사가 1개 이상의 작품을 출품했고, 나머지 15개 회원사는 한 작품도 출품하지 않았다는 점과 관련해 회원들의 관심 고취를 위한 방안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온라인 편집상 신설 기준부터 논의해야
협회 회원사 중 연합뉴스의 제안으로 ‘온라인 편집상 신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서브 주제토론도 진행됐다. 연합뉴스, 뉴시스 등 2곳은 종이신문을 발행하지 않는 매체의 특성상 이달의 편집상 수상작 선정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회원사 간 형평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왔다.
이번 토론에서는 지면이 없는 매체의 특성상 심사기준 등 평가 가이드라인 설정과 관련된 논의가 심도 있게 이뤄졌다. 연합뉴스 박혜진 차장은 “출품 방식은 편집기자의 손을 거친 온라인 화면의 제목을 캡처해 출품하는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며 “경쟁사가 2곳 밖에 되지 않는 특성상 분기별 혹은 1년 치를 모아 심사하는 방식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 어떤 플랫폼을 기준으로 평가할 것인가와 평가 대상이 2곳이라는 점을 놓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한편 온라인 회원사의 협회 가입 확대와 관련해선 협회의 외연 확대 차원에서 긍정적이라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빠른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가입 기준 등 가이드라인 마련에 대한 논의가 서둘러 진행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