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한국편집기자협회 (edit@edit.or.kr)

나재필의 Feel <21>


당신은 카피의 명수다. 쾌도난마의 카피도 당신의 것이다. 속곳을 벗기듯 텍스트에 감춰진 속뜻을 파헤치는 당신의 섬세한 손길이 신문을 살리고 편집을 살린다. 그래서 편집은 생명과 죽음을 동시에 잉태하는 출산이자 주검이다. 하지만 전쟁터에서 한가로이 시(詩)나 읊고 녹슨 세월의 풍광을 노닥거리는 ‘겁 없는’ 편집기자들이 많다. ‘겁 없는 장수’가 칼을 들지 않은 법이다.
우린 이제껏 그들의 거만함에 대해 침묵해왔다. 그 어느 누구도 발가벗기지 않았고, 꼬집지 않았다. 그냥 제목 뽑고 레이아웃 뚝딱 해치우는 편집기자로 키웠다. 한판, 두 판, 세 판을 짜면 그걸로 소명을 다했다고 믿는 편집기자로 키웠다. 그게 불찰이었다. 그 오만함 때문에 편집이 물러 터졌고, 위기를 자초했다. 머릿속에 박제해놓은 편집 땟거리를 365일 똑같이 우려먹는 것은 감히 말하건대 자폭이다. 우린 ‘판짜는 기계’가 아니라고 외치면서도 그냥 영혼 없는 ‘판만 짜는’ 식이다. 그건 출산이 아니라 생산이다.
노력하지 않는 편집기자는 곧 도태될 것이다. 절박함이 묻어나지 않으면 편집 또한 곧 도태될 것이다. 제목을 뜯어고치는 데스크를 미워할 게 아니라, 제목이 뜯어고치지 않도록 데스크를 현혹하는 게 먼저다. 데스크는 ‘빨간펜 선생’이 아니기 때문이다.
디지털 시대에도 편집의 아날로그는 살아남을 수 있다. 어느 누구에게라도 평가절하되지 않으려면, 스스로 도태된 민낯을 봐야한다. 이 세상에 가장 똑똑한 게 편집기자가 아니라, 똑똑한 척 하고 있을 뿐이기에 그렇다. 뒤처진다는 말은 듣기 싫어하면서도 ‘게으른 하루’를 살고 있다면 자성해야 한다. 이건 강권이다.
‘편집의 바이블’로 머리가 아닌 가슴을 먼저 예열하자. 한인섭 KEI(한국편집연구소) 소장은 ‘이것이 편집이다’라고 말하는 순간 그것은 이미 편집이 아니라고 했다. 두렵지 않은가. 편집이 두렵고 자만이 두렵고 소신이 두렵지 않은가. 자신의 생각이 불변의 틀이 되어 고형화 되면 그걸로 끝이다.
우리는 보여줘야 한다. 편집이 왜 신문의 중심에서 세상을 지배할 수 있는지를 체득으로 보여줘야 한다. 청년의 푸른 삼투압처럼 끓고 있다는 열정도 보여줘야 한다. 체온을 닮은 편집, 사람의 표정을 읽는 편집, 세상의 명암을 읽는 편집, 몸속에 구겨져 있던 환멸조차도 도려낼 수 없는 편집을 이야기해야 한다.
수익을 내지 않는 편집기자라고 몰아붙이는 경영인들에게 고개를 뻣뻣하게 드는 것이 ‘자존’이 아니라, 실력으로 말할 수 있는 혜안이 ‘자존’이다. 진정한 편집은 지금 당장 필요하더라도 버릴 줄 알고, 잃을 줄 알고, 놓을 줄 아는 것이다. 독자들로부터 피드백을 받기 위해서는 100마디의 산문(기사)보다 한 줄짜리의 시(詩)가 필요할 때도 있다.
매일 아침 편집은 안녕한가 묻는다. 아니 떳떳한가 묻는다. 활자·사진·레이아웃 모두를 담은 시각디자인 종합상품이 마음에 드느냐고 되묻는다. 지난 10년 간 편집기자 28%가 ‘집’으로 갔다. 퇴출인지, 가출인지, 퇴임인지는 모르겠으나 편집의 ‘밥줄’이 위험하다. 편집부가 해체되고 있고 외주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신문사의 ‘편집국’이라는 명칭이 왜 ‘편집’에 방점이 찍혀 있는지 다시 소매 깃을 여며야 하지 않을까. 신문편집이 지녀야 할 언어적 미감과 의미의 소통전략은 아직 우리에게 일할 명분을 던져주고 있다.
‘일류’이기를 포기하고 ‘아류’가 되고 있는 편집기자는 이제 벼랑 끝에 서 있다. 멋진 제목을 뽑고 지면을 꾸미는 전통적인 역할에만 안주한다면 ‘죽은 편집의 시대’에서 생존할 수 없다. ‘좋은 게 좋지!’(수동)가 아니라 ‘더 좋은 게 없을까’(창의)하고 생각의 지평을 넓혀야한다. ‘파격’과 ‘오버’도 따지고 보면 ‘틀리게’ 하는 것이 아니라 남과 ‘다르게’ 하는 것이다. 시켜서 하는 일에는 능률이 오르지 않는다. 시키기 전에 알아서 하는 게 중요하다. 편집자는 역모를 꾸밀 줄 알아야 하고, 아무도 하지 않은 일을 모의해야 산다.
‘석과불식’(碩果不食)은 가지 끝에 남아 있는 최후의 ‘씨과실’이다. 초겨울 삭풍을 견디며 탄생한 씨과실은 떨어져 새싹이 되고 다시 나무로, 숲으로 만들어진다. 지금부터라도 ‘씨과실’을 만들면 후배들이 달콤한 ‘과실’을 먹을 것이다. 희망의 풀무질을 하자. 우리는 ‘편집’을 지켜야 하는 마지막 씨방이기 때문이다.